
현재 카카오에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인 다음지도(카카오맵)은 컴퓨터와 모바일에서 쉽고 간단하게 사용 가능하다도록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콩나물맵을 다음이 인수하여 2009년 정식 오픈을 하였으며, 로드뷰와 스마트폰이 보급화됨에 따라서 많은 분들에게 알려진 다음지도인데요. 구글맵의 스트리트뷰가 초기에 국내의 길거리 사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에 비해 다음지도의 로드뷰는 정확하게 보여주었기에 시장의 점유율을 빠르게 얻을 수 있었습니다. 때문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이용이 많이 되었으며, 나중에 나온 네이버지도와 함께 현재까지 사용이 되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다음지도는 2016년부터는 카카오맵으로 개편이 되어서 이름이 변경이 되었는데요. UI가 바뀌면서 여러가지 편리한 서비스들이 많..

이제는 설명을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대중화되어 보급화가 마쳐진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바로 '카카오톡'입니다. 원래는 따로 개발이 되었지만 다음과 합병을 하여 이제는 다음 카카오를 통해서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더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 이제는 단순 메신저에서 벗어나 많은 부분을 카카오톡으로 하실 수 있게 변화가 되었습니다. 선물하기나 이모티콘의 사용, 영상통화, 파일전송을 비롯하여 쇼핑이나 배달도 이제는 카톡으로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만큼 모바일에서 많이 활용이 되기도 하지만 컴퓨터에서도 많이 쓰는데요. 모바일과 연계가 되어지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있는 친구 그대로 대화내용도 이어서 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런 이유로 많은 분들이 모바일에서 뿐만아니라 PC로도 메인 메신..

환경부에서는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홈페이지를 통하여 등급 조회 및 저공해조치 신청, LPG차 전환지원 신청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자동차 운행제한이나 미세먼지 상식을 비롯하여 배출가스 등급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니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배출가스 등급은 환경부에서 제공을 하고 있는 자동차 배출가스의 등급 산정방법에 관련된 규정에 따라서 1~5등급으로 분류가 되어진다고 합니다. 해당 분류는 연식이나 오염물질의 배출 정도 그리고 유종 등의 고려사항이 포함이 된다고 하는데요. 이 중에서 5등급의 차량 같은 경우에는 저공해 사업으로 인하여 운행제한이 되어진다고 합니다. 계절 관리제로써 매년 12월 부터 3월까지 4개월이 시행이 되어진다고 하구요. 이를 지키지 ..